류큐 열도 미국군정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는 1945년 오키나와 전투 이후 미국이 류큐 열도를 점령하면서 설치된 군정 기구이다. 체스터 니미츠 제독의 니미츠 포고를 통해 일본 정부의 권한을 정지시키고, 류큐 열도와 그 주민에 대한 모든 정치 및 행정 권한을 미군에 귀속시켰다. 군정은 군정 장관과 부관인 군정부 장관, 부장관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조셉 스틸웰, 위르헬름 스티어, 조셉 R. 시츠 등이 군정 장관을 역임했다. 1950년 12월 15일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로 개편되었다.
류큐 열도에 대한 미국의 첫 장기 주둔은 1853년 5월 매튜 C. 페리 제독이 오키나와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으나, 1년 남짓 후 페리가 떠나면서 종료되었다. 페리는 오키나와를 바쿠마츠 시대 미일 관계의 발판으로 삼고자 했다. 약 100년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오키나와 전투가 끝난 1945년 4월부터 미국인들이 다시 섬으로 돌아왔고, 이는 일본 본토 공략을 위한 발판이 되었다.
류큐 열도 미국 군정부는 미국 태평양 방면군(후에 극동군으로 개편)의 하위 기관이었다. 주민 통제를 위해 오키나와 자문회가 설치되었고, 이는 나중에 오키나와 민정부와 오키나와 의회·오키나와 민정 의회로 개편되었다. 사법 기관으로는 형사 사건을 다루는 특정 군사 재판소가 설치되었다.
2. 역사적 배경
2. 1. 미군의 류큐 열도 점령
1945년 2월 이오지마를 공략한 미국군은 일본 본토 진출을 위한 최대 발판으로 오키나와 공략에 나섰다. 이 공략이 성공하면서 면적, 인구, 일본 통치 역사 등에서, 이 시점까지 점령되었던 마리아나 제도 등과는 비교할 수 없는 규모의 점령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1945년 3월 26일 게라마 제도에 상륙한 미국군은 태평양 함대 사령장관 겸 태평양 지역 사령관 겸 미국군 점령 하의 남서 제도 및 그 근해의 군정부 총장 체스터 니미츠 미국 해군 원수의 명의로 미국 해군 군정부 포고 제1호 "권한의 정지" (일명 '''니미츠 포고''')를 공포했다. 이어서 오키나와 본섬에 상륙한 1945년 4월 1일에도 동명의 포고를 공포했으며, 4월 5일에는 요미탄 비사에 군정부를 개설했다.
이 미국 해군 군정부 포고 제1호는 일본 정부의 모든 행사권을 정지하고, 남서 제도 및 근해와 그 거주민에 관한 모든 정치 및 관할권, 최고 행정 책임이 점령군 사령관 겸 군정부 총장인 미국 해군 원수 니미츠의 권능에 귀속된다고 선언했다.
같은 해 8월 15일 종전 후에도 오키나와, 아마미 지역의 군정 구역을 확대해 갔다. 미야코 제도는 12월 8일, 야에야마 제도는 12월 28일, 아마미 제도・토카라 열도는 이듬해 2월 2일에 군정 하에 들어갔다.
그 후, 1950년 12월 15일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로 개편되었다.
; 군정부 (Ryukyu Military Government)2. 2. 니미츠 포고와 군정부 수립
1945년 2월, 이오지마를 점령한 미군은 일본 본토 공격을 위한 주요 거점으로 오키나와 공략을 시작했다. 이 작전의 성공으로, 마리아나 제도 등 이전 점령지와는 비교할 수 없는 규모(면적, 인구, 일본 통치 기간 등)의 점령이 이루어졌다.
1945년 3월 26일, 게라마 제도에 상륙한 미군은 태평양 함대 사령장관이자 태평양 지역 사령관 겸 미군 점령하 남서 제도 및 근해 군정부 총장인 체스터 니미츠 미국 해군 원수 명의로 미 해군 군정부 포고 제1호 "권한의 정지" (일명 '''니미츠 포고''')를 발표했다. 1945년 4월 1일 오키나와 본섬 상륙 후에도 같은 포고를 발표했고, 4월 5일에는 요미탄 비사에 군정부를 설치했다.
이 포고는 일본 정부의 모든 통치권을 정지시키고, 남서 제도와 그 근해 및 주민에 대한 모든 정치·관할권, 최고 행정 책임이 점령군 사령관 겸 군정부 총장인 니미츠 원수에게 귀속됨을 선언했다.
1945년 8월 15일 종전 후, 미군은 오키나와와 아마미 지역으로 군정 구역을 확대했다. 미야코 제도는 12월 8일, 야에야마 제도는 12월 28일, 아마미 제도·도카라 열도는 이듬해 2월 2일에 군정 관할이 되었다.
이후 1950년 12월 15일,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로 개편되었다.
; 군정부 (Ryukyu Military Government)2. 3. 군정 지역 확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도 미국은 오키나와, 아마미 지역의 군정 구역을 확대해 갔다. 미야코 제도는 1945년 12월 8일, 야에야마 제도는 12월 28일, 아마미 제도・도카라 열도는 이듬해인 1946년 2월 2일에 군정 하에 들어갔다.[1]
3. 통치 체제
3. 1. 군정부 조직
정부는 군정장관(軍政長官)과 그의 부관인 군정부장관(軍政府長官)이 이끌었다. 이들은 군정부 부장관(軍政府副長官)의 보좌를 받았다.
류큐 열도 미국 군정부의 최고위는 군정 장관(Military Governor)이며, 다음으로 군정부 장관(Chief Military Government Officer), 그 보좌로서 군정부 부장관(Deputy Commander, Military Government)이 설치되었다.
성립 당시에는 니미츠가 군정 장관을 맡았고, 군정부 장관에 터너 해군 중장, 군정부 부장관에 크리스트 육군 준장이 임명되었다. 1945년 9월 21일부터는 군정 장관이 스틸웰 육군 대장이었지만, 실질적으로는 해군이 군정을 실시했으며, 1946년 7월 1일에 스티어 육군 중장이 군정 장관이 된 이후에는 실질적인 운영도 미국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류큐 열도 미국 군정부는 미국 태평양 방면군(후에 극동군으로 개편)의 하위 기관으로 여겨졌다. 또한, 직접적인 주민 통제 기관으로 오키나와 자문회(후에 오키나와 민정부와 오키나와 의회·오키나와 민정 의회로 개편)가 설치되었다. 또한 사법 기관으로는 형사에 관한 특정 군사 재판소가 설치되었다.
3. 2. 주민 통제 기구
류큐 열도 미국 군정부의 최고위는 군정 장관(Military Governor)이며, 다음으로 군정부 장관(Chief Military Government Officer), 그 보좌로서 군정부 부장관(Deputy Commander, Military Government)이 설치되었다.
성립 당시에는 니미츠가 군정 장관을 맡았고, 군정부 장관에 터너 해군 중장, 군정부 부장관에 크리스트 육군 준장이 임명되었다. 1945년 9월 21일부터는 스틸웰 육군 대장이 군정 장관이었지만, 실질적으로는 해군이 군정을 실시했으며, 1946년 7월 1일에 스티어 육군 중장이 군정 장관이 된 이후에는 실질적인 운영도 미국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류큐 열도 미국 군정부는 미국 태평양 방면군(후에 극동군으로 개편)의 하위 기관으로 여겨졌다. 또한, 직접적인 주민 통제 기관으로 오키나와 자문회(후에 오키나와 민정부와 오키나와 의회·오키나와 민정 의회로 개편)가 설치되었다. 사법 기관으로는 형사에 관한 특정 군사 재판소가 설치되었다.
4. 역대 군정 장관
대 | 사진 | 성명 | 취임일 |
---|---|---|---|
1 | -- | 체스터 니미츠 해군 원수 | 1945년 4월 1일 |
2 | 조셉 스틸웰 육군 대장 | 1945년 7월 31일 | |
3 | -- | Wilhelm D Styer|위르헬름 스티어영어 육군 중장 | 1946년 7월 1일 |
4 | -- | 조셉 R. 시츠 육군 소장 | 1949년 10월 1일 |
5 | -- | Robert McClure|로버트 맥클루어영어 육군 소장 | 1950년 7월 27일 |
6 | -- | 해리 셔먼 육군 준장 | 1950년 12월 6일 |
7 | -- | Robert S Beightler|로버트 베이트러영어 육군 소장 | 1950년 12월 9일 |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